대부분의 "목사"는 생계수단으로 목회의 길에 들어서지 않는다.
왜냐하면, 목회는 하나님께서 주신 부르심에 대한 순종이며, 사명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목사는 그 사명감 없이는 목회자의 길을 갈 수 없다.
하지만 "교인"은 교회를 섬기는 동기가 의무감에서부터 시작이 된다.
의무감이란 자기의 살길을 찾으면서 교회를 위해 헌신하는 정도를 말한다.
다시 말해, "사명감"은 살고 죽는 것을 떠나서 주님의 부르심에 순종하는 것이지만, "의무감"은 교회를 위해 절대적인 헌신을 하지 않으며 자기의 모든 것을 버리고 주님을 쫓지 않는 것이다.
요즘 교인들이 목사를 띄엄띄엄~ 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명감으로 감당해야 할 그 자리를 의무감으로 대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목사는 이제 월급쟁이가 되어버렸고, 세상의 권력을 가진 사람, 돈이 많아 헌금을 많이 한 사람, 가족들이 많아 수적으로 교회의 실권을 가진 교인들의 의견이 교회의 모든 것을 지배하고 있다.
그렇다.
목사가 죄를 책망하고, 초대교회로 돌아가자!는 설교를 할 수 있는 길은 목사가 생명을 걸고 사명감으로 감당하지 아니하면, 감히 복음을 복음답게 외칠 수 없는 오늘의 상황이 되어 버린 것이다.
왜냐하면, 목회는 하나님께서 주신 부르심에 대한 순종이며, 사명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목사는 그 사명감 없이는 목회자의 길을 갈 수 없다.
하지만 "교인"은 교회를 섬기는 동기가 의무감에서부터 시작이 된다.
의무감이란 자기의 살길을 찾으면서 교회를 위해 헌신하는 정도를 말한다.
다시 말해, "사명감"은 살고 죽는 것을 떠나서 주님의 부르심에 순종하는 것이지만, "의무감"은 교회를 위해 절대적인 헌신을 하지 않으며 자기의 모든 것을 버리고 주님을 쫓지 않는 것이다.
요즘 교인들이 목사를 띄엄띄엄~ 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명감으로 감당해야 할 그 자리를 의무감으로 대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목사는 이제 월급쟁이가 되어버렸고, 세상의 권력을 가진 사람, 돈이 많아 헌금을 많이 한 사람, 가족들이 많아 수적으로 교회의 실권을 가진 교인들의 의견이 교회의 모든 것을 지배하고 있다.
그렇다.
목사가 죄를 책망하고, 초대교회로 돌아가자!는 설교를 할 수 있는 길은 목사가 생명을 걸고 사명감으로 감당하지 아니하면, 감히 복음을 복음답게 외칠 수 없는 오늘의 상황이 되어 버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