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개신교에서 끊임없이 논란이 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무엇이냐 하면 바로 "기복신앙"이라고 생각한다.
이 기복신앙에 대해서 각 교회와 교단에서 기독교 본래의 가르침에 위배된다고 말하면서도, '실제로 기복신앙을 배제하면 기독교가 현실적으로 과연 유지될 수 있는가?'라며 묻고 있다는 것이다.
기복신앙이 왜 그토록 문제가 되는가?
그 이유는 하나님보다, 주님보다, 진리보다, 우리 눈에 보이는, 우리가 느끼는 현상에, 우리 자신의 성공번영에 더 주목하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우리는 오늘도 여전히 우리의 필요에 따라 우리가 원하는 복음을 얼마나 많이 만들어 내는지 모른다.
즉, 한국의 샤머니즘적인 기복신앙의 문제는 하나님을 우리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전략시켜버리기 때문인 것이다.
그 결과, 우리들의 신앙생활 속에서도 우리가 하나님 앞에 우리 자신이 변화되기를 기도하는 것보다, 우리들의 상황이 변화되기를 기도하는 것이다.
오늘날 겉으로 드러나는 교회의 세속화, 교회 지도자들의 윤리적 스캔들, 교회의 부패와 타락, 성도들의 수평이동, 크리스찬들의 정체성 등등의 모든 문제의 이면에는 이러한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 실패’가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하나님의 관점이 아닌 세상적인 관점을 통하여 “신학,” 즉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추구해 나갈 때, 그 “신학”은 기복신앙으로 인하여 무장해제 될 것이며, 교회는 세속주의의 포로가 될 것이다.
이 기복신앙에 대해서 각 교회와 교단에서 기독교 본래의 가르침에 위배된다고 말하면서도, '실제로 기복신앙을 배제하면 기독교가 현실적으로 과연 유지될 수 있는가?'라며 묻고 있다는 것이다.
기복신앙이 왜 그토록 문제가 되는가?
그 이유는 하나님보다, 주님보다, 진리보다, 우리 눈에 보이는, 우리가 느끼는 현상에, 우리 자신의 성공번영에 더 주목하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우리는 오늘도 여전히 우리의 필요에 따라 우리가 원하는 복음을 얼마나 많이 만들어 내는지 모른다.
즉, 한국의 샤머니즘적인 기복신앙의 문제는 하나님을 우리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전략시켜버리기 때문인 것이다.
그 결과, 우리들의 신앙생활 속에서도 우리가 하나님 앞에 우리 자신이 변화되기를 기도하는 것보다, 우리들의 상황이 변화되기를 기도하는 것이다.
오늘날 겉으로 드러나는 교회의 세속화, 교회 지도자들의 윤리적 스캔들, 교회의 부패와 타락, 성도들의 수평이동, 크리스찬들의 정체성 등등의 모든 문제의 이면에는 이러한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 실패’가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하나님의 관점이 아닌 세상적인 관점을 통하여 “신학,” 즉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추구해 나갈 때, 그 “신학”은 기복신앙으로 인하여 무장해제 될 것이며, 교회는 세속주의의 포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