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일
질문 1. 살아서나 죽어서나 나(당신)의 유일한 위로는 무엇일까요?
왜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The Heidelberg Catechism)은 다른 교리문답과 달리 하나님의 중심적인 가르침이 아니라, 인간 중심적인 '위로'에 대해서 먼저 가르치는지 궁금하지 않습니까?
그 첫 번째 이유는 그들의 역사적 배경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이 작성되어 교회에서 가르쳤던 시기는 현재 우리의 상황처럼 평온한 시기가 아니었습니다. 그 시기는 마틴 루터로부터 종교개혁이 시작되었지만, 구교(로마카톨릭교회)와 신교(개신교)가 팽배하게 갈등이 있었던 시대였습니다. 또한 개신교도들의 수가 늘어남으로써 신교에 대한 탄압으로 위그노(프랑스의 개신교 신자를 가르킴)전쟁이라는 종교전쟁(1562년-1598년)으로 36년간 이어졌던 때였습니다. 어떤 곳에서는 개혁사상을 유포하는 행위를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로 규정하여 신교도들을 탄압하는 공포정치를 함으로 수 많은 사람들이 처형(순교)을 당하고, 자신들의 신앙을 지키기 위해 다른 곳으로 망명하던 때였습니다.
그런 핍박의 소식이 전해지던 상황에서 작성된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은 분명 그들의 신앙적 삶에 대한 진정한 고백이요, 가르침이요, 위로였을 것입니다.
하지만, 16세기의 핍박 속에서도 자신의 신앙을 지키며 살았던 그들이, 오늘 우리의 안일한 신앙을 돌아본다면, 그들은 과연 우리에게 뭐라고 말을 할까요?
“당신들이야 말로 '위로'가 필요한 시대에 살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까요?”
질문 1. 살아서나 죽어서나 나(당신)의 유일한 위로는 무엇일까요?
왜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The Heidelberg Catechism)은 다른 교리문답과 달리 하나님의 중심적인 가르침이 아니라, 인간 중심적인 '위로'에 대해서 먼저 가르치는지 궁금하지 않습니까?
그 첫 번째 이유는 그들의 역사적 배경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이 작성되어 교회에서 가르쳤던 시기는 현재 우리의 상황처럼 평온한 시기가 아니었습니다. 그 시기는 마틴 루터로부터 종교개혁이 시작되었지만, 구교(로마카톨릭교회)와 신교(개신교)가 팽배하게 갈등이 있었던 시대였습니다. 또한 개신교도들의 수가 늘어남으로써 신교에 대한 탄압으로 위그노(프랑스의 개신교 신자를 가르킴)전쟁이라는 종교전쟁(1562년-1598년)으로 36년간 이어졌던 때였습니다. 어떤 곳에서는 개혁사상을 유포하는 행위를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로 규정하여 신교도들을 탄압하는 공포정치를 함으로 수 많은 사람들이 처형(순교)을 당하고, 자신들의 신앙을 지키기 위해 다른 곳으로 망명하던 때였습니다.
그런 핍박의 소식이 전해지던 상황에서 작성된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은 분명 그들의 신앙적 삶에 대한 진정한 고백이요, 가르침이요, 위로였을 것입니다.
하지만, 16세기의 핍박 속에서도 자신의 신앙을 지키며 살았던 그들이, 오늘 우리의 안일한 신앙을 돌아본다면, 그들은 과연 우리에게 뭐라고 말을 할까요?
“당신들이야 말로 '위로'가 필요한 시대에 살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까요?”